티스토리

bskyvision.com
검색하기

블로그 홈

bskyvision.com

라이프 분야 크리에이터
bskyvision.com/m

ASIS: bskyvision.com -> TOBE: vault.dev-sim.com 새 글은 새 블로그에..

구독자
75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bskyvision.com 소개 및 ⋯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SI 개발자 vs SM 개발자 IT 프로젝트는 크게 보면 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I와 SM. SI는 System Integration의 약어로 "시스템 구축"을 뜻합니다.  반면, SM은 System Management의 약어로 "시스템 운영(유지보수)"를 뜻합니다.  SI를 통해 시스템이 구축되었다면 그 이후에는 SM이 시작되겠죠.  개발자는 이렇게 분류하는게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SI 개발자와 SM 개발자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대개 SI 업무를 하는 개발자들은 스타트업, 중소기업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고, SM 업무를 하는 개발자는 대기업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많은 예외가 있으니 오해는 말아주세요.  보통 대기업은 SI 업체들에 외주를 줘서 시스템을 구축한 후 자사 개발자들을 통해서 운영(..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8. 13.
  • [IT 용어] 채번이란? 채번이라는 단어가 IT에서 사용될 때는 "고유한 번호를 생성하는 일"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DB 테이블에 레코드를 삽일할 때, 각 레코드를 식별하려면 유니크한 값이 필요한데 그러한 고유한 값을 생성하는 것을 채번이라고 합니다. 끝.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5.
  • [IT 용어 정리]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란? IT 업계에서 일하다보면 PRD라는 용어를 종종 듣게 됩니다. PRD는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라는 용어의 약자로, 제품의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를 뜻합니다. 한국어로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라고 번역할 수 있겠습니다. 주로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 PM)들이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PRD는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참고자료 [1]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prd-%EC%A0%9C%ED%92%88%EC%9A%94%EA%B5%AC%EC%82%AC%ED%95%AD%EC%A0%95%EC%9D%98%EC%84%9C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4.
  • 이메일 관련 프로토콜, SMTP, POP, IMAP 정리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전자메일을 송신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통신 포트는 25번을 사용합니다. 파이썬에서 이메일 전송관련 라이브러리 이름이 smtplib인 것도 이것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POP는 Post Office Protocol의 약자로 전자메일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통신 포트는 110번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전송용 수신용 프로토콜이 따로 존재하는 이유는 메일을 보내는 사람의 pc와 메일을 받는 사람의 pc가 항상 켜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보내는 사람은 이메일을 SMTP을 활용하여 메일 서버에 전송하고, 받는 사람은 POP을 활용하여 메일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수신합니다. 그러면 IMAP(Internet Message A..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6. 7.
  • 프록시(proxy) 서버란?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 인터넷이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외부 네트워크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는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거나 특정 API 서버에는 접속이 가능해야한다든지 말이죠. 내부망은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프록시(proxy) 서버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근합니다. 프록시 서버는 내부망의 어떤 컴퓨터를 대신해서 외부망에 액세스하는 서버입니다. 프록시 서버는 외부망과 내부망 중간 경계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벽(firewall)에서 실행됩니다. 외부에서 내부로서의 접근은 방화벽이 막아주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접근은 프록시 서버가 대신 해줌으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프록시 서버는 크게 포워드(forward) 프록시와 리버스(rev.. 공감수 2 댓글수 6 2023. 6. 4.
  • Open API란? OpenAI와 헷갈리지 마세요 Open API는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개발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합니다[1]. 어떤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다른 기관/사람에 제공하고 싶을 때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정부는 도로명 주소 조회 서비스 등 2500개가 넘는 Open API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2]. 요즘 ChatGPT를 만든 미국의 AI 개발사인 OpenAI와 헷갈리시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Open API는 대중에게 공개되어 제공되는 API 서비스들을 말하는 일종의 개념이고, OpenAI는 회사 이름입니다. 완전히 다른 것이니 헷갈리지 마세요. 참고자료 [1] https://www.sejong.go.kr/stat/content... 공감수 2 댓글수 2 2023. 6. 4.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소 우리는 보통 컴퓨터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하드디스크, SSD 등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하곤 합니다. 그 저장소는 보통 그 PC 주인만 이용하는 개인적인 저장 공간입니다. 회사에서 보통 공유 파일들을 저장해놓는 공간으로 NAS를 많이 사용합니다.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로 네트워크에 부착된 외부 저장소입니다.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기기에서는 권한만 부여되어 있다면 이 NAS에 NAS의 IP 주소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공유된 저장소이기 때문에 회사 내 누군가 작업한 결과물을 확인할 수도 있고 한거죠. 파일 탐색기 상에서 로컬 디스크는 내 PC 안에 있다면, NAS는 네트워크 안에 있습니다. 이름이 비슷한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는 완전히 다.. 공감수 2 댓글수 0 2023. 6. 3.
  • CORS와 관련 있는 preflight request란?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에 대해서 자료를 살펴보던 중에 preflight request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어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CORS란? 우선 CORS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하겠죠?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은 말 그대로 Origin이 다른 경우에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허용해주는 정책을 뜻합니다. 여기서 Origin은 프로토콜 + 호스트 + 포트를 합한 것으로 이 세가지가 동일하면 같은 Origin이라고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http://123.456.789.123:3000과 http://123.456.789.123:8001은 다른 Origin입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딱히 분리되어 있지 않던 시절에는 프론트.. 공감수 2 댓글수 0 2023. 5. 16.
  • 사설 IP 주소와 관련된 부끄러운 에피소드 예전에 처음 웹 개발을 접했을 때 127.0.0.1/index 주소로 웹 브라우저에 웹 페이지가 보여지는 것을 보고 신기해서 친한 친구에게 127.0.0.1/index를 카톡으로 전달하면서 "너도 이거 보이지?"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 안 보인다고 하길래 그러면 192.168.0.8/index를 전달하면서 "그러면 이 주소로는 보여?"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ㅋㅋ 사설 IP 주소를 공유하면서 그 친구도 접근이 가능할 것을 바랬으니 말이다. 공인 IP 주소를 전달해주고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등을 해줘야지만 접근 가능했을 것이다. 다음 IP 주소들은 모두 사설 IP 대역에 속하는 IP 주소들이다. (10, 172, 192) 10.0.0.0 ~ 10.255.255.2.. 공감수 4 댓글수 2 2023. 5. 3.
  • 우리가 카페에서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이유(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그리고 NAT) 회사에서 인프라 관련된 분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NAT라는 용어를 종종 듣곤 한다. 여기서 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NAT를 쓰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기기)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때문이다. 공인 IP와 사설 IP가 뭔지 모르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공인(public) I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에 의해 네트워크 라우터에 할당된 주소이다. 사설(private) IP는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라우터에 의해 할당된 주소다. 인터넷 상에서 누군가 내 PC에 접근하려면 두 개의 주소가 필요하다. 1) 공인 IP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5. 2.
  •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많이 사용되는 JSON 정리 JSON, 제이슨 많이 들어보셨죠?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많이 사용되는 파일 형식 중 하나가 JSON입니다.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입니다. JSON 이외에 파일을 주고 받을 때 많이 사용되는 형식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있는데, 최근에는 XML보다는 JSON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에서는 통신할 때 XML에서 데이터를 파싱하는 것보다 JSON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훨씬 더 용이했습니다. JSON 문법 정리 JSON 공식 홈페이지[1]에 따르면, JSON은 두 가지 중요한 구조를 갖는다고 합니다. 1. 이름(키)-값 쌍의 모음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object, record, struct,.. 공감수 2 댓글수 2 2022. 11. 8.
  • 웹 서버에 이미지 전송해야 하는 경우, FileZilla 클라우드 기반의 웹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해당 서버로 이미지 등의 파일을 보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그때 파일질라(filezilla) 프로그램을 활용합니다. 이름이 다소 촌스럽지만,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는 파일질라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platform=win64 FileZilla 사용법 파일질라 프로그램을 다운로드/설치하신 후에 실행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ssh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시려면 호스트에 sftp://123.456.789.123 과 같이 "sftp://아이피주소"를 입력합니다. 사용자명, 비밀번호, 포트를 각각 입력합니다. 2. [빠른.. 공감수 2 댓글수 4 2022. 10. 21.
  • 바닐라 JS, 바닐라 파이썬이 뭐지? 프레임워크인가? 바닐라 JS라고 들어보셨나요? React JS, Vue JS 등에 익숙해져 있는 분들에게 바닐라(vanilla) JS는 또 하나의 프레임워크처럼 생각될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ㅋㅋ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바닐라 JS는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순수 자바스크립트를 뜻합니다. 따라서 바닐라 JS를 사용한다라고 말한다면, 리액트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 자바스크립트로 웹 서비스의 프론트앤드를 구현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한다면, 리액트, 뷰 등의 프레임워크를 잘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전에 먼저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를 제대로 익히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파이썬을 공부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파이썬에도 정말 많은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가 있는데 특.. 공감수 12 댓글수 0 2022. 10. 15.
  • 상업적 용도로 사용해도 괜찮은 CC0(Creative Commons 0) 라이센스 블로그, 웹/앱 개발, 출판 등의 활동을 할 때 항상 주의해야 할 것은 저작권입니다.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누군가의 저작권을 침해하면, 법적인 책임을 져야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취미, 공익 목적으로 블로그를 하고 있다고 해도(애드센스 광고를 붙이지 않았다고 해도), 저작권자가 허용하지 않은 범위로 저작물을 사용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진, 영상, 음악이 저작권에 있어서 민감하다고 합니다. 신문사 기자가 촬영한 사진을 몰래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거나 하면 신문사 쪽에서 간혹 소송을 걸기도 한다니 조심하십시오. CC0 라이센스 그렇다면, 어떤 라이센스를 갖고 있는 저작물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바로 CC0 라이센스입니다. CC0는 Creative Commons 0의 약자입니다. C.. 공감수 2 댓글수 0 2022. 8. 3.
  • 카페24 호스팅센터 도메인 연장하는 방법 혹시 카페24로부터 "도메인 만료일이 30일 남았습니다"라는 이메일을 받으셨다면, 도메인 연장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물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도메인이라면 메일을 그냥 무시하시면 됩니다. 도메인이란 사이트의 주소입니다. 모든 사이트는 123.456.789.123 등과 같은 IP 주소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IP 주소는 숫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우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통 도메인 서비스를 통해서 123.456.789.123 대신 google.com과 같이 기억하기 쉬운 주소로 접속이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서, google.com이 바로 도메인 주소입니다. 카페24 호스팅센터 도메인 연장하는 절차 1. 먼저 카페24 호스팅센터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https://hosting.cafe24... 공감수 2 댓글수 0 2022. 7. 12.
  • 이 사이트는 보안 연결(HTTPS)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SSL 인증서 웹사이트 주소를 살펴보면, http://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 https://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로 시작하는 경우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의 요함"이라는 메시지가 떠 있습니다. 클릭해보면, "보안 연결(HTTPS)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정보를 주고 받는데, HTTPS가 사용되지 않는 사이트의 경우 그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송수신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노출된다면 쉽게 도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HTTP 뒤에 S가 붙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SSL 인증서를 발급 받아서 해당 서버에 적용해야 합니다. 호스트센터 SSL 인증서 SSL 인증서를 판매하는 곳은 여러 군데가 있지만, ..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7. 11.
  • ssh 원격 접속 명령어 서버에 원격 접속할 때 저는 주로 ssh를 이용합니다.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입니다. ssh 원격 접속 방법 만약 사용자가 bskyvision이고 ip주소가 123.456.789.123 이고 포트가 6202라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윈도우 cmd나 리눅스 터미널에서 입력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원격 서버에 접속 가능합니다. ssh bskyvision@123.456.789.123 -p6202 ssh 원격접속가능계정@접속할pc의ip주소 -p포트번호 관련 글 - 우분투 ssh 포트번호 변경하기 공감수 0 댓글수 2 2022. 6. 26.
  • AMD Ryzen CPU 보는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비스카이비전입니다. 최근에 AMD Ryzen CPU의 성능을 비교할 줄 알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다음 CPU 중 어떤 CPU가 가장 성능이 좋을까요? 1번. AMD Ryzen 3 2200G with Radeon Vega Graphics 3.50 GHz 2번. AMD Ryzen 5 3400G with Radeon Vega Graphics 3.70 GHz 3번. AMD Ryzen 7 2700 Eight-Core Processor 3.20 GHz 오늘 포스팅 내용을 읽어나가시면 어느 정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잡히실 것입니다. AMD 라이젠 CPU 보는 법 제품 등급 1번. AMD Ryzen 3 2200G 3.50 GHz 2번. AMD Ryzen 5 3400G 3.70 GHz 3번. A.. 공감수 6 댓글수 0 2022. 6. 23.
  • 구글링할 때 2022년 이후의 자료만 검색되게 하고 싶다면? 오늘은 구글링할 때 특정 기간에 작성된 자료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구글링을 하다보면 너무 예전 자료가 상단에 노출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알고리즘이 선택해준 글이기 때문에 유용한 글일 가능성이 크지만, 그래도 시대에 뒤떨어진 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간을 설정해준다면 조금 더 빠르게 나에게 필요한 자료를 찾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정 시점 이후의 글만 검색되게 하는 방법 ex) 팜유 after: 2021 위와 같이 검색하면 2022년 이후에 쓰여진 "팜유"와 관련된 글만 검색됩니다. 2021년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코딩뿐만 아니라 주식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때는 최신 뉴스를 보는 것이 생명이겠죠? 특정 시점 이전의 글만 검색되게 하는 방법 ex) 팜유 before.. 공감수 0 댓글수 2 2022. 4. 29.
  • LG U+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비스카이비전입니다. 지난 번에 저는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에 대한 글을 작성했습니다. 오늘은 LG U+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LG U+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법 1.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219.1을 입력해서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아마도 위와 비슷한 화면이 뜰 겁니다. 분홍색 화살표 버튼을 클릭한 후 비밀번호와 보안코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합니다. 여기서 패스워드는 일반적으로 와이파이 연결할 때 사용하는 비밀번호가 아닙니다. 공유기 하단을 보시면 관리자 웹 접속 번호가 있는데, 그 번호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2. 상태정보 - DHCP 할당 정보에 들어가서 본인 기기에 할당된 IP 주소와 맥 주소를 찾은 다음에 그것을 가지고 DHC.. 공감수 5 댓글수 8 2020. 11. 25.
  • 쉽게 따라하는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하기 오늘은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집에 있는 iptime 공유기의 상세 모델명은 N104plus-i인데, 모델이 달라도 포트포워딩 설정하는 방식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자! 그럼 한 단계 한 단계 잘 따라와주세요. 1. 크롬 등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을 입력해서 공유기의 설정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iptime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되었다면 로그인해줍니다. *만약 위 그림과 같은 페이지에 접속되지 않았다면, 명령프롬프트(cmd.exe)를 열어서 ipconfig를 입력해줍니다. 참고로 명령프롬프트는 [윈도우키]+[R키]로 프로그램 실행 창을 띄운 후에 cmd를 입력하면 열립니다. 명령프롬프트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다음과.. 공감수 1 댓글수 2 2020. 10. 7.
  • 삼성 오디세이 노트북 램 교체(업그레이드)하기 안녕하세요. 비스카이비전입니다. 지금까지 제 손으로 램을 교체해본 적은 없지만, 인터넷에 찾아보니 교체 또는 추가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워 보이지 않더라고요. 리소스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서 램을 교체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삼성 오디세이 노트북에 맞는 16GB 램을 하나 구입했습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구입한 램입니다. 혹시 이 램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서 링크 달아놓겠습니다. 교체 전 제 노트북의 사양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보시다시피 8.00GB 램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실행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한 사양이죠. 그래서 이번에 4GB + 4GB = 8GB 였던 램을 4GB + 16GB = 20GB로 업그레이드시켰습니다. 4GB 하나를 떼고 그 자리에 16GB짜리 램을 넣어줬.. 공감수 6 댓글수 3 2020. 7. 28.
  • 헷갈리는 코딩용어,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코딩을 하다보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관계없이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라는 말을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정확한 개념을 모른채 혼용해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오늘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매개변수와 인수 우선 매개변수와 인수는 함수 또는 메서드와 연관된 용어입니다. 따라서 C++에서 하나의 함수를 선언하고 난 후 설명해보겠습니다. 두 개의 숫자를 전달받아서 더해주는 간단한 덧셈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매개변수란 위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인수는 무엇일까요? 인수는 함수가 호출될 때 매개변수에 실제로 담기는 값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우리를 헷갈리게 만드는 것이 있는데 매개변수를 인자.. 공감수 16 댓글수 2 2020. 6. 5.
  • 당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 언어입니까? 아니면 인터프리트 언어입니까? 우리가 C, C++, Python 등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하든지 간에 컴퓨터는 이것을 이해할 능력이 없습니다. 근본적으로 컴퓨터는 0과 1만 이해할 수 있는 친구입니다. 전기적 신호가 켜졌으면 1(on), 아니면 0(off).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해줄 번역가가 필요합니다. 이 번역가의 역할을 해주는 것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컴파일러(compiler)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입니다. 컴파일러에 의해 번역이 이뤄지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파일(compile) 언어라 부르고, 인터프리터에 의해 번역이 이뤄지는 언어는 인터프리트(interpret) 언어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컴파일 언어에는 C, C++ 등이 있고,.. 공감수 2 댓글수 0 2020. 4. 24.
  • 티스토리 블로그 및 웹사이트 도메인 제공 사이트 추천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만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의 주소를 갖게 됩니다. blueskyvision.tistory.com 제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 주소입니다. 그런데 이런 이름은 뒤에 .tistory가 붙기 때문에 주소가 너무 길어집니다. 또한 나만의 사이트 브랜딩하고 싶은 경우에는 tistory가 url에 안 들어가게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겠죠. 이때 도메인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이용해본 도메인 서비스는 가비아와 freenom.com입니다. 가비아는 유료고, freenom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몇몇 도메인은 무료로 제공합니다. 그런데 사실상 .com, .net과 같은 유명한 도메인은 유료이고, .cf, .ml과 같이 특이한 도메인만 무료입니다. .cf와 같은 도메인으로 만들어놓으면 사람들.. 공감수 2 댓글수 10 2020. 1. 18.
  • 32비트, 64비트 운영체제의 차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크게 32비트 운영체제와 64비트 운영체제로 나눌 수 있다. 불과 10년 전만해도 모든 컴퓨터는 32비트 운영체제였는데, 슬슬 64비트 운영체제가 나오기 시작하더니 이제 출시되는 컴퓨터는 거의 64비트 운영체제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이것들은 무엇이고, 이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일단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이 32비트 운영체제인지, 64비트 운영체제인지 확인해보자. 내 컴퓨터를 우클릭한 후 속성을 클릭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것이 보인다. 시스템 종류를 보면 64비트 운영 체제, x64 기반 프로세서라고 되어 있다. 이전에 사용하던 노트북은 32비트 운영 체제였다. 두 운영체제의 차이를 살펴보자. ▶ 32비트와 64비트 운영체제의 차이 [2]에 의하면, 32비트와 64비트의.. 공감수 7 댓글수 8 2017. 10. 9.
  • 램(RAM)이란 무엇인가? 영상처리를 전공하는 석사생으로서 하루 종일 컴퓨터를 붙잡고 있을 때가 많다. 그런데 정작 컴퓨터 자체에 대한 기초지식이 참 많이 부족함을 최근에 실감했다. 이제 새롭게 노트북을 바꿀 때가 되서 컴퓨터의 부품들이 어떤 역할들을 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오늘은 램이 무엇인지 정리하려고 한다.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아래 세가지인 것 같다. 1.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연산 및 제어 장치 2.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주 기억장치 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등: 보조 기억장치 CPU가 작업을 하는 공간이 바로 주 기억장치인 .. 공감수 9 댓글수 6 2017. 7. 9.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